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926세대 대규모 대수선, 주민 이주 없이 성공할 수 있을까?

by 푸그니스 2025. 9. 29.
반응형

 

926세대 대규모 대수선, 주민 이주 없이 성공할 수 있을까?

 

요약

강남 삼성동의 힐스테이트 2단지가 ‘대수선 사업’을 추진합니다. 단지를 완전히 허물고 재건축하는 대신, 기존 건물을 보강하고 외관과 설비를 신축 수준으로 개선하는 방식입니다. 주민 이주가 필요 없다는 장점 때문에 눈길을 끌지만, 과연 비용 부담과 동의율 문제를 넘어 성공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목차
1.대수선이란 무엇인가
2.삼성 힐스테이트 2단지 개요
3.대수선 사업 내용
4.입지와 생활 환경
5.학군 및 교육 여건
6.전망과 과제


1. 대수선이란 무엇인가

  • 정의: 건축물의 주요 구조나 외관을 고치고 보강하는 큰 규모의 수선 작업을 뜻합니다.
  • 특징: 기존 건물을 철거하지 않고, 공용부와 세대 내부를 개선해 신축에 가까운 품질로 끌어올리는 방식입니다.
  • 장점: 이주가 필요 없고, 사업 기간이 짧으며 절차가 재건축보다 간단합니다.
  • 한계: 구조 변경 폭이 제한적이고, 비용은 주로 입주민이 부담해야 합니다.

 

 

2. 삼성 힐스테이트 2단지 개요

항목
내용
세대수
926세대
준공 연도
2008년 (약 18년 차)
동 수 / 층수
12개 동, 최고 23층
용적률 / 건폐율
용적률 약 273%, 건폐율 약 19%
주차
지하주차 1,277대, 지상주차 14대
특징
강남 삼성동 입지, 규모 있는 브랜드 단지

 



3. 대수선 사업 내용

  • 공용부 개선: 외벽 리뉴얼, 단지 입구 정비, 조경 재구성, 커뮤니티 시설 보강.
  • 설비 업그레이드: 지하주차장 설비 교체, 전기차 화재 방지 장치, 스마트 출입 제어 시스템 도입.
  • 세대 내부 선택 개선: 고성능 창호, 층간소음 저감 구조, 에너지 절약형 설비 설치 가능.
  • 공사 특징: 주민 이주 없이 진행, 약 1년 내외 공사 기간 예상.

 

 

4. 입지와 생활 환경

  • 위치 장점: 삼성동은 강남의 핵심 입지로, 코엑스·무역센터 등 상업·문화 시설과 가깝습니다.
  • 교통 편의: 지하철과 버스 노선이 풍부해 강남 전역으로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 개선 필요: 외관 노후화, 주차장 누수, 노후 설비 문제로 생활 불편이 발생해 개선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5. 학군 및 교육 여건

  • 삼성동은 강남권 학군지로 분류되며, 봉은초, 언주중, 경기고·영동고 등이 대표적인 주변 학군입니다.
  • 학원가 접근성도 좋은 편으로, 학부모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는 지역입니다.

 

 

6. 전망과 과제

구분
내용
기대 효과
외관·커뮤니티·설비 개선으로 신축급 품질 확보, 인근 신축 단지와 시세 격차 축소
장점
주민 이주 불필요, 사업 기간 짧음, 절차 간소
과제
주민 동의율 확보, 비용 부담 문제, 공사 중 생활 불편
전망
성공 시 강남권 노후 단지 재생의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 가능

 


 

 

정리

삼성 힐스테이트 2단지의 대수선 사업은 “이주 없는 대규모 리뉴얼”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입지적 장점과 브랜드 이미지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결국 관건은 주민의 동의와 비용 부담을 어떻게 조율하느냐입니다. 성공한다면 노후 단지 재생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삼성 힐스테이트 2단지 대수선 요약 표]

구분 내용
대수선 정의 건물 주요 구조·외관·공용부를 보강·개선하는 대규모 수선, 이주 없이 신축 수준 개선 가능
단지 개요 926세대, 2008년 준공(약 18년 차), 12개 동, 최고 23층, 용적률 273%
사업 내용 외벽·조경·커뮤니티·주차장·스마트 설비 개선 / 세대 내부 선택형 창호·소음 저감·에너지 절약 설비
입지·환경 강남 삼성동 핵심 입지, 교통·생활 인프라 우수 / 노후 설비·주차장 누수 등 개선 필요
학군 봉은초·언주중·경기고·영동고 등 강남권 학군, 학원가 접근성 양호
전망·과제 신축급 품질 확보·시세 격차 축소 기대 / 동의율 확보, 비용 부담, 공사 불편이 주요 과제

힐스테이트2차/대한경제 출처


https://super-kyo.com/6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