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클라우드·이중화 없는 정부 시스템, 또 다른 사고는 막을 수 있을까?

by 푸그니스 2025. 9. 27.
반응형

클라우드·이중화 없는 정부 시스템, 또 다른 사고는 막을 수 있을까?

요약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주요 전산망이 멈추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정부24와 주민등록, 우체국 금융 서비스까지 마비되며 국민 불편이 컸습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화재를 넘어, 정부 시스템이 왜 이렇게 취약한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경고가 되고 있습니다.

목차
1.화재 발생 현황
2.화재 원인
3.피해 상황
4.드러난 문제점
5.해결 방안
6.전망과 시사점


1. 화재 발생 현황

  • 발생 시점: 2025년 9월 26일 오후 8시 15분경
  • 장소: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센터
  • 경과: UPS(무정전전원장치) 교체 중 발화 → 항온항습기 정지 → 시스템 선제 정지
  • 영향: 정부24, 주민등록, 국민신문고, 우체국 금융 등 주요 서비스 접속 불가
  • 정부 대응: 위기경보 단계를 ‘심각’으로 격상,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2. 화재 원인

  • 직접 원인: UPS 리튬이온 배터리 교체 과정에서 불꽃 발생
  • 간접 요인: 항온항습기 정지로 내부 온도가 올라가면서 서버 손상 우려
  • 구조적 배경: 이중화·백업 체계 부족, 클라우드 전환 지연


3. 피해 상황

구분 내용
시스템 정지 전체 647개 정부 업무 시스템 중 약 70여 개 장애 발생
대국민 서비스 정부24, 주민등록, 국민신문고, 우체국 금융 등 서비스 중단
내부 행정 온나라 전자결재 시스템 장애 → 공문 처리 지연
국민 불편 민원 신청, 세금 납부, 각종 증명서 발급 지연
데이터 위험 일부 서버와 배터리 장비 손상 가능성 제기

4. 드러난 문제점

  1. 중앙 집중 구조의 취약성
    한 곳의 사고가 국가 전체 행정 서비스 중단으로 이어짐.
  2. 재난 복구 체계 미흡
    이중화나 클라우드 전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대체 시스템 작동 불가.
  3. 업무 연속성 부족
    긴급 상황에 대비한 BCP(업무연속성계획)가 실질적으로 작동하지 못함.
  4. 책임 불명확
    장비 관리와 예방 점검 책임이 모호해 제도적 허점 드러남.
  5. 국민 신뢰 저하
    행정 서비스 안정성에 대한 불안감 증폭.

5. 해결 방안

  • 클라우드 기반 전환: 중앙 집중형에서 분산형으로 구조 재편
  • 이중화 및 DR센터 강화: 다른 지역에 재난 복구센터 마련, 실시간 백업·자동 전환 체계 확보
  • 정기 점검·훈련: 배터리, 전원 장치 점검과 화재 대응 훈련 정례화
  • 대체 서비스 준비: 긴급 상황 시 오프라인 창구, 수기 접수, 기한 연장 등 대안 마련
  • 투명한 조사와 책임 규명: 화재 원인 및 관리 부실 여부를 명확히 밝히고 재발 방지책 제시

6. 전망과 시사점

  • 단기 전망: 시스템 복구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국민 불편이 불가피
  • 중장기 전망: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정부는 클라우드 전환과 분산형 인프라 구축을 서두를 가능성 높음
  • 시사점: 단순한 화재가 아닌 “구조적 위기”임을 보여준 사건. 재난에도 끄떡없는 복원력 있는 행정 시스템 구축이 국민 신뢰 회복의 핵심 과제가 될 것

 

👉 이번 화재는 단순한 사고를 넘어, “정부 시스템이 과연 안전한가?”라는 질문을 남겼습니다. 앞으로는 안정성과 복구력을 갖춘 디지털 정부 인프라가 필수입니다.


[국정자원 화재 요약 표]

구분 내용
화재 발생 2025년 9월 26일 오후 8시 15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센터에서 화재 발생
화재 원인 UPS(무정전전원장치) 리튬이온 배터리 교체 중 불꽃 발생 → 항온항습기 정지 → 서버 손상 우려
피해 상황 ① 정부 전산시스템 647개 중 약 70개 장애
② 정부24·주민등록·국민신문고·우체국 금융 등 서비스 마비
③ 온나라 전자결재 등 내부 행정망 마비
④ 민원·세금 납부 지연
⑤ 서버 및 장비 일부 손상 가능성
문제점 - 중앙 집중식 인프라 취약성
- 재난 복구(이중화·백업) 체계 미흡
- BCP(업무연속성계획) 실효성 부족
- 관리 책임 불명확
- 국민 신뢰 저하
정부 대응 - 위기경보 ‘심각’ 격상, 중대본 가동
- 복구 우선순위: 주민등록·우체국 금융·세금 납부 등
- 항온항습기 복구 → 서버 재가동 → 단계적 시스템 복원
- 민원 기한 연장, 오프라인 창구 운영
해결 방안 - 클라우드 기반 전환 및 이중화 구축
- DR센터 강화 및 실시간 백업
- 전원·배터리 장치 정기 점검
- 정기 모의훈련, 대응 시뮬레이션
- 대체 서비스 체계 마련
- 원인 조사와 책임 규명
전망 - 단기: 국민 불편 및 복구 지연 불가피
- 중장기: 분산형 인프라·클라우드 전환 가속화
- 재난에도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가능한 복원력 있는 정부 시스템 필요

리튬 화재/경향신문 출처


https://super-kyo.com/6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