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치료 약값 반값 시대? 위고비 대항마 등장에 시장 술렁
목차
1.먹는 비만약의 시대가 온다
2.위고비(Wegovy)의 현재 위치
3.먹는 비만약 vs 위고비: 뭐가 다를까?
4.전문가가 말하는 향후 시장 전망
5.결론: 누구에게 어떤 약이 더 적합할까?
1. 먹는 비만약의 시대가 온다
“이제는 알약 한 알로 살을 뺀다?”
이전까지만 해도 비만 치료는 식욕억제제나 주사제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릴리(Eli Lilly)**가 발표한 먹는 비만약 **‘오르포글리프론(Orforglipron)’**의 임상 3상 성공 소식은 업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40주 만에 평균 7.9% 체중 감소라는 성과를 기록한 이 약물은, **비만약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 위고비(Wegovy)의 현재 위치
위고비는 덴마크 제약사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가 개발한 GLP-1 유사체 계열의 주사제입니다. 주 1회 피하 주사만으로 최대 15% 체중 감량이라는 탁월한 효과를 입증하며 미국, 유럽, 한국 등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높은 비용, 주사 방식의 불편함, 지속 복용 시 부담감 등으로 인해 일부 환자들에게는 ‘가성비’ 면에서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3. 먹는 비만약 vs 위고비: 뭐가 다를까?
3-1. 효과
- 위고비는 68주 동안 평균 15% 이상 감량.
- 오르포글리프론은 40주 기준 7.9% 감량.
👉 감량 수치는 위고비가 우세하지만, 경구 복용 대비 오르포글리프론의 효율도 인상적입니다.
3-2. 복용 편의성
- 위고비: 주 1회 피하 주사 (일체형 주사기 필요)
- 오르포글리프론: 매일 혹은 일정 간격으로 알약 복용, 심리적 진입 장벽 ↓
👉 주사 공포증이나 편의성 측면에서는 먹는 약이 훨씬 유리합니다.
3-3. 부작용
- 위고비: 오심, 구토, 변비, 드물게 췌장염, 담낭염
- 오르포글리프론: 아직 부작용 정보 제한적, 경증 위장장애 보고
👉 먹는 약도 장기적으로는 부작용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3-4. 비용
- 위고비: 미국 기준 월 190만 원, 한국은 50만 원 수준
- 오르포글리프론: 저분자화합물 기반이라 생산단가 저렴
👉 약값 절반 이하 전망, ‘반값 비만약 시대’를 여는 주역이 될 가능성 ↑
4. 전문가가 말하는 향후 시장 전망
의료계와 보험업계는 이 같은 변화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스위스 재보험사는 “비만약의 고비용은 건강 불평등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며, 먹는 약의 대중화가 의료 접근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편, 전문가들은 “GLP-1 계열 약물은 단순한 체중 감량을 넘어 혈당 조절, 심혈관 질환 예방, 지방간 치료 등 광범위한 건강 개선 효과를 지닌다”며, 약물 다양화가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5. 결론: 누구에게 어떤 약이 더 적합할까?
- 빠르고 강력한 효과를 원한다면 → 위고비
- 복용의 편리함, 장기적 지속성, 가격 부담 완화를 원한다면 → 오르포글리프론
결국, 가장 중요한 건 나에게 맞는 치료 전략을 세우는 것입니다.
약물 효과도, 부작용도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전문의 상담을 통해 맞춤형 처방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먹는 비만약 vs 위고비 비교 요약표]
항목 | 먹는 비만약 (오르포글리프론) | 주사제 위고비 (Wegovy) |
복용 방식 | 경구 복용 (알약 형태) | 주 1회 피하 주사 |
주성분/기전 | GLP-1 계열 저분자화합물 | GLP-1 계열 펩타이드 (세마글루타이드) |
체중 감량 효과 | 평균 7.9% 감량 (40주 기준) | 평균 15% 감량 (68주 기준) |
복용 편의성 | 매우 우수 (심리적 부담 ↓, 복약 순응도 ↑) | 주사 방식으로 일부 사용자 불편함 존재 |
부작용 | 위장 장애 (경미한 수준, 정보 제한적) | 오심, 구토, 복통, 드물게 췌장염·담낭염 등 발생 |
예상 비용 | 상대적으로 저렴 (생산 단가 낮고 대량 생산 가능) | 고가 (월 약 50만 원, 미국 기준 약 190만 원) |
시장 전망 | 접근성 향상으로 대중화 가능성 ↑, 보험 적용 기대 | 고효능으로 수요 지속, 그러나 고비용 부담 존재 |
일라이 릴리 먹는 비만약https://super-kyo.com/377 |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쌀 부족에 놀란 일본, 한국 쌀 러브콜! 앞으로 벌어질 일은? (0) | 2025.04.22 |
---|---|
짠테크의 끝판왕 등장!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안 쓰면 손해 (1) | 2025.04.21 |
정부랑 같이 집 산다고?지분형·공유형 모기지 리얼 비교표 공개 (0) | 2025.04.21 |
김프로 유튜브 1억 구독자의 진실, 하루 수익 6억의 알고리즘을 벗긴다 (2) | 2025.04.20 |
정부가 12.2조 쏜다! 이번 추경, 어디에 얼마나 쓰일까? (0) | 2025.04.19 |
49층 ‘은마타운’ 탄생 임박! 1979년생 아파트의 화려한 부활 (1) | 2025.04.18 |
판교의 개발자 전쟁, 이젠 '신입'이 아닌 'AI'가 뽑힌다 (0) | 2025.04.18 |
의대 정원 ‘증원 보류’ 결정이 불러올 5가지 파장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