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왕숙 신도시, 포기자 속출 속에 진짜 승자는 누구인가요?

by 푸그니스 2025. 8. 9.
반응형

왕숙 신도시, 포기자 속출 속에 진짜 승자는 누구인가요?

요약 
남양주 왕숙 A1·A2블록 사전청약 당첨자의 약 40%가 본청약을 포기했습니다. 교통 여건과 분양가 인상이 주요 원인입니다. 하지만 이런 가격 조건은 앞으로 다시 만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목차
1.현황
2.포기 이유와 문제점
3.해결 방안
4.장단점
5.전망과 메시지


1. 현황

남양주 왕숙 신도시는 수도권 주택 공급 계획의 핵심 지역입니다. 하지만 이번 본청약에서 사전청약 당첨자 중 약 4명 중 1명 이상이 계약을 포기하면서 일반공급 물량이 크게 늘었습니다.

구분 수치
사전청약 당첨자 698명
본청약 계약자 422명 (60.5%)
계약 포기자 276명 (39.5%)
일반공급 물량 변화 A1: 34 → 237가구 / A2: 193 → 266가구
특별공급 경쟁률 최대 30:1
 

2. 포기 이유와 문제점

  • 교통 입지 아쉬움: GTX-B와 지하철 9호선 연장 등 호재는 있지만, A1·A2블록은 주요 역과 거리가 있어 실거주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 분양가 인상 부담: 사전청약 당시보다 A1 블록은 약 8천만 원, A2 블록도 비슷하게 올라 부담이 커졌습니다. 상승률로는 약 21%에 달합니다.

3. 해결 방안

  • 금융 부담 완화: LH가 계약금을 10%에서 5%로 낮추고, 중도금 이자 부담을 줄이는 조건을 제시했습니다.
  • 교통 개발 홍보 강화: 향후 GTX, 9호선, BRT가 완성되면 입지가 크게 개선된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습니다.
  • 분양가 인상 이유 설명: 자재비·인건비 상승 등 원인을 투명하게 공개해 수요자 불신을 줄여야 합니다.

4. 장단점

구분 장점 단점
포기자 가격 급등 리스크 회피 사전청약 당시 저렴한 가격 기회 상실
일반공급 지원자 청약 기회 확대 경쟁률 높아 당첨 가능성 낮음
정책 측면 금융 조건 완화로 계약 유도 근본적인 입지·가격 문제는 그대로
 

5. 전망과 메시지

왕숙 신도시는 교통망이 완성되면 가치가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에 포기한 사람들에게는 “그 가격”에 다시 분양받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단기적으로는 부담이 크지만, 장기적으로는 충분히 매력적인 투자·거주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회를 놓치지 않으려면 지금이 중요한 시점입니다.


[간단한 표 정리]

구분 내용
본청약 계약률 60.5% (698명 중 422명 계약)
포기율 39.5% (276명)
포기 주요 이유 교통 접근성 부족, 분양가 약 21% 인상
분양가 인상액 A1 블록 약 7,959만 원, A2 블록 유사 수준
일반공급 물량 변화 A1: 34 → 237가구 / A2: 193 → 266가구
특별공급 경쟁률 최대 30:1
해결 방안 계약금 인하(10%→5%), 중도금 이자 부담 완화, 교통망 완공 시 입지 홍보
핵심 메시지 다시는 이 가격에 분양받기 어려움

왕숙지구 이미지/한국일보 출처


https://super-kyo.com/566


https://super-kyo.com/56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