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공급은 부족한데 거래는 뚝… 이대로 집값 다시 오를까요?

by 푸그니스 2025. 8. 7.
반응형

공급은 부족한데 거래는 뚝… 이대로 집값 다시 오를까요?

요약: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값 상승세가 확연히 둔화되고 있습니다.
거래량도 급감했지만, 공급 부족이라는 구조적인 한계는 여전히 남아있어,
단기적인 진정 이후에는 다시 가격이 오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목차
1.아파트값, 왜 멈췄을까?
2.실수요도 묶인 규제의 역효과
3.공급 부족, 생각보다 심각하다
4.해결의 열쇠는 유연한 대책과 공급 확장
5.다시 오를까? 부동산 시장의 향후 흐름
6.요약표로 정리하기


1. 아파트값, 왜 멈췄을까?

6월 말 발표된 6·27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값의 상승세가 5주 연속 둔화됐습니다.
강남 3구와 주요 재건축 단지 중심으로 과열되던 분위기가 한풀 꺾인 모양새입니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상승폭이 커진 지역은 단 한 곳뿐일 정도로 대부분 지역의 상승세가 둔화됐습니다.

이는 고가 아파트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이 막히면서,
매수 수요 자체가 급속히 줄어든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실수요도 묶인 규제의 역효과

문제는 이 규제가 단기적 투기 수요뿐 아니라 실수요자들까지 시장에서 이탈시켰다는 점입니다.
특히 기존 주택을 팔고 새 집을 사려는 ‘갈아타기 수요’나 신혼부부, 다자녀 가구 등이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으며
시장 전체가 일시 정지 상태로 빠져들고 있습니다.


3. 공급 부족, 생각보다 심각하다

서울의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은 내년에 약 2만 8천 가구로, 올해보다 40% 가까이 줄어들 예정입니다.
2026년에는 1만 가구도 안 되는 수준으로 내려갑니다.

분양도 위축돼 올해 상반기 수도권에서 예정됐던 분양 물량의 절반 이상이 연기됐고,
전국 인허가 물량도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즉, 눈앞의 수요는 묶였지만 공급 부족 문제는 더욱 깊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4. 해결의 열쇠는 유연한 대책과 공급 확장

지금과 같은 강한 규제는 단기적인 심리 진정에는 효과가 있지만,
결국 실수요까지 옥죄는 방식으로는 지속 가능한 시장 안정이 어렵습니다.

정부는 실수요자를 위한 대출 완화와 함께,
3기 신도시 조기 공급, 재건축 인허가 속도 개선, 민간 분양 인센티브 제공
공급 확대에 속도를 내야 할 시점입니다.


5. 다시 오를까? 부동산 시장의 향후 흐름

많은 전문가들은 이번 대책의 효과가 3~6개월 수준의 단기적 안정에 그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만약 하반기 금리가 인하되거나 경기 회복 조짐이 보일 경우,
공급 부족과 맞물려 집값이 다시 꿈틀거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무작정 규제만으로 시장을 눌러두기보다,
균형 잡힌 공급 전략과 실수요자 보호 정책이 병행되어야 할 이유입니다.


6. 요약표로 정리하기

항목 내용 요약
현황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세 둔화, 거래량 급감
문제점 고강도 규제가 실수요자까지 억제함
공급 부족 입주·분양·인허가 모두 줄며 구조적 공급 위기
해결방안 대출 규제 유연화, 조기 공급 확대, 민간 활성화
전망 단기 안정 후 다시 상승 가능성 존재, 특히 하반기 이후 주목
 

마무리

6·27 대책은 분명한 단기 진정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수요까지 억누른 채 장기적으로 공급도 부족한 상황은 오히려 시장을 더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속도감 있는 공급 대책과 유연한 대출 정책의 병행입니다.
시장은 잠시 멈춘 것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서 다시 움직일 준비를 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공급이미지/대한경제 출처


https://super-kyo.com/563


https://super-kyo.com/56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