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정부가 외국인 집거래 조사에 나선 이유, 뭘까요?”

by 푸그니스 2025. 7. 5.
반응형

“정부가 외국인 집거래 조사에 나선 이유, 뭘까요?”

최근 부동산 시장을 둘러싼 이슈 중 하나는 외국인의 집 구매에 대한 조사 강화입니다. 단순히 한두 명이 불만을 토로하는 수준이 아니라, “왜 외국인은 아무 제약 없이 집을 사고, 한국인만 규제받아야 하냐”는 역차별 논란으로까지 번지고 있죠.

그렇다면, 정부는 왜 이제서야 움직인 걸까요? 외국인의 집 구매가 얼마나 많고,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그리고 앞으로는 어떻게 바뀔지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목차
1.외국인, 얼마나 많은 집을 샀을까? 
2.왜 내국인들이 ‘역차별’을 말할까?
3.정부와 지자체는 어떤 대응을 시작했을까?
4.앞으로 어떻게 변할까?
5.마무리: 공정한 부동산 시장으로 가는 길

 



1.외국인, 우리나라 집 얼마나 샀을까?

현재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주택 수는 10만 채를 넘었습니다. 특히 서울·수도권 지역에 많이 몰려 있는데, 서울에만 외국인 보유 주택이 4채 중 1채꼴로 집중돼 있습니다.
국적별로 보면 중국, 미국, 캐나다 등 다양한 나라의 투자자들이 한국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인은 중저가 아파트, 미국인은 고가 강남 아파트에 많이 투자한 경향이 있습니다.


2.한국인은 규제받고, 외국인은 자유롭다?

바로 이 부분에서 논란이 시작됩니다.
현재 한국인들은 집을 살 때 여러 제약이 따릅니다. 예를 들어, 수도권에서 대출을 받으려면 최대 6억 원까지로 제한되고, 주택을 구입한 뒤에는 6개월 안에 실제로 거주해야 하는 실거주 의무도 있습니다.

하지만 외국인은 이런 규제를 대부분 적용받지 않습니다.
한국 내에서 대출을 안 받아도 되고, 해외 은행에서 자금을 조달하면 대출 제한을 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실거주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기도 어렵고, 규제 대상이 명확하지 않아 사각지대가 많았던 게 사실입니다.

이로 인해 “외국인은 돈만 있으면 아무 집이나 사고팔 수 있는데, 우리는 온갖 규제를 받는다”는 불만이 커진 거죠.


3.정부, 뒤늦게라도 칼을 빼들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와 국토부가 움직였습니다.
최근 외국인의 이상 거래에 대한 정밀 조사에 착수했으며, 특히 강남권 고가 아파트 등에서 자금 출처를 꼼꼼히 살피고, 실거주 여부도 확인하기 시작했습니다.

예전엔 단순히 계약서만 확인했다면, 이제는 실제로 그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지, 소득 대비 투자 규모가 적정한지 등 여러 항목을 기준으로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만약 문제가 발견되면 과태료나 이행강제금 같은 제재도 가능해졌습니다.


4.법도 바뀔까? 외국인에게도 ‘상호주의’ 적용

국회에서는 외국인 부동산 거래에 대한 규제 강화를 위한 법안이 발의되기도 했습니다.
핵심은 ‘상호주의 원칙’인데요, 예를 들어 한국인이 특정 국가에서 집을 못 사면, 그 나라 국민도 한국에서 부동산을 사지 못하게 하는 식입니다.

또한 외국인에게도 실거주 의무,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대출 규제 적용 등을 내국인과 동일하게 하자는 방향입니다. 형평성을 맞추겠다는 취지죠.


5.앞으로 어떤 변화가 예상될까?

이제 외국인의 부동산 거래도 점차 투명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과거처럼 쉽게 편법으로 집을 사고, 대출 규제를 피해가는 일은 점점 어려워질 것이고,
정부도 정기적으로 외국인 거래를 감시하는 체계를 만들겠다고 밝힌 상황입니다.

물론 외국인의 투자를 무조건 막자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내국인에게는 무겁고 복잡한 규제가, 외국인에게는 전혀 적용되지 않는 현실은 바로잡아야 하겠죠.


정리하자면

정부가 외국인의 집거래를 조사하기 시작한 건,
단지 외국인 투자 때문이 아니라 ‘공정하지 않다’는 국내 여론이 폭발했기 때문입니다.

이제라도 체계를 갖추고 규제를 정비하면,
내·외국인 모두에게 공정하고 투명한 부동산 시장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겁니다.

지금은 그 시작점에 서 있는 셈이죠.

 

 외국인 주택 구입  이슈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요약 표

항목 주요 요약
외국인 투자 현황 약 10만 채 보유, 그중 70% 이상이 서울·수도권 집중 
역차별 논란 내국인 대출 규제(6억, 실거주 의무) 적용받지만 외국인은 해외 자금 조달로 규제 회피 가능
지자체 대응 서울시·국토부 등이 자금 출처, 실거주 여부 등 조사 강화 시작
입법 움직임 ‘상호주의’ 기반 법안 발의, 체류·입주 의무 및 대출 한도 등 내국인과 동일 기준 적용 추진
전망 규제 사각지대 해소, 시장 안정 기대, 투명성·신뢰도 제고 예상
 

외국인주택구입/네이트뉴스 출처

https://super-kyo.com/511


https://super-kyo.com/5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