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취득세 완화 요약] 지방에서 집 사면 진짜 싸진다? 세금 줄이는 방법 공개

by 푸그니스 2025. 4. 23.
반응형

[취득세 완화 요약] 지방에서 집 사면 진짜 싸진다? 세금 줄이는 방법 공개

2025년부터 공시가격 2억 원 이하의 지방 주택에 대해 다주택자라도 기본 취득세율 1%만 적용되는 새로운 제도가 시행됩니다. 이로 인해 세금 수백만 원 절약이 가능해져, 특히 지방 실거주나 투자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목차]
1.공시가 2억 이하 주택 취득세 혜택이란?
2.변경 전후 비교
3.장점과 단점
4.현황과 제도 도입 배경
5.향후 전망

취득세 완화요약


 1.공시가 2억 이하 주택 취득세 혜택이란?

기존에는 공시가 1억 원 이하의 저가 주택만 취득세 중과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주택 가격 상승지방 거래 침체를 고려해 정부는 기준을 2억 원으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지방(비수도권)에 위치한 공시가 2억 원 이하 주택을 매매로 취득할 경우, 보유 주택 수와 관계없이 기본세율(1%)만 적용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 적용 대상 및 주요 내용 요약

  • 적용 시기: 2025년 1월 2일 이후 매매 계약 체결 기준
  • 적용 지역: 비수도권 (예: 충남, 강원, 전북 등 지방 전역)
  • 해당 주택 요건: 공시가격 2억 원 이하, 매매로 취득
  • 세금 적용: 보유 주택 수와 무관하게 1% 기본세율 적용
  • 추가 혜택: 해당 주택은 보유 주택 수 산정에서 제외

 2.변경 전후 비교

항목 변경 전 변경 후
공시가 기준 1억 원 이하 2억 원 이하
대상 지역 전국 지방(비수도권)
취득세율 (3주택자) 8% 1%
주택 수 계산 포함 여부 포함 제외

예를 들어, A씨가 지방에 있는 2억 원짜리 아파트를 추가로 구매할 경우, 과거에는 약 1600만 원의 취득세(2억 × 8%)를 냈어야 했지만, 이제는 200만 원(2억 × 1%)만 내면 됩니다. 세금 부담이 무려 1,400만 원 줄어드는 셈입니다.


3. 장점과 단점

장점

  • 다주택자도 세금 부담 완화 → 실거주 목적 수요 장려
  • 지방 부동산 거래 활성화 유도
  • 보유 주택 수 제외 효과 → 종부세·양도세 등 추가 혜택 기대

단점

  • 수도권과의 정책 불균형
  • 세금 혜택을 노린 투기 수요 유입 우려
  • 매매 외 증여·상속은 해당 없음 → 조건 제한

4. 현황과 제도 도입 배경

지방 주택 시장은 수도권에 비해 거래량 감소와 가격 정체가 뚜렷합니다.
실제 지방의 공시가격 1억 원 초과 2억 원 이하 매물은 많지만, 기존 제도에서는 중과 대상이 되어 매수 심리가 위축되어 있었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지방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해 중과 부담을 줄이고, 실수요자 중심 거래를 촉진하려는 목적으로 제도를 개정했습니다.


5. 향후 전망

이번 정책은 단기적으로는 지방 주택 거래량 증가를 견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고령자, 전직 이직자, 귀촌자들에게는 실질적인 혜택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지방 일부 지역의 집값 과열, 투자 목적 쏠림 가능성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정부는 앞으로도 지방세 제도를 유연하게 개편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히며, 지방 경제 활성화주거 안정을 동시에 도모할 계획입니다.


📌 요약

  • 지방(비수도권) 공시가 2억 이하 주택 → 취득세 1%
  • 다주택자도 중과세율 면제, 보유 주택 수 계산 제외
  • 거래 증가, 시장 회복 기대 vs. 형평성 논란, 투기 우려 존재

✅ 제도 변경 전후 비교 표

항목 변경 전  변경 후
공시가 기준 1억 원 이하 2억 원 이하
적용 지역 전국 지방(비수도권)
적용 대상 일부 실거주 1주택자 다주택자 포함 매수자
취득세율 (3주택자 기준) 8% 1%
주택 수 포함 여부 포함 제외
적용 조건 주택 수 제한 있음 매매이면 무제한 적용 가능

지방아파트/네이버부동산 참조


https://super-kyo.com/38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