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3억이 순식간에 날아갔다?” 토지거래허가제 재지정 후 송파구 집값 충격!

by 푸그니스 2025. 3. 28.
반응형

“3억이 순식간에 날아갔다?” 토지거래허가제 재지정 후 송파구 집값 충격!

불과 몇 주 전까지만 해도 들썩이던 서울 아파트 시장이 다시 주춤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2024년 3월 24일 시행된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재지정이 있다. 특히 송파구는 단기간에 수억 원이 빠지는 등 시장에 적지 않은 충격을 주고 있다.

[목차]
1.재지정 이후 서울 부동산 시장의 변화
2.반복되는 정책 번복, 시장의 혼란 가중
3.서울시의 대응과 부동산 조직 개편 방안
4.향후 전망: 단기 조정 vs. 중장기 회복 가능성
5.마무리: 예측 가능한 부동산 정책의 중요성

📉 1.토허제 재지정 후의 변화: 집값 상승세 ‘급제동’

서울시는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와 용산구 전역을 다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이 조치가 시행되자, 아파트값의 상승 폭이 급격히 둔화되었다.
서울 전체 상승률은 전주 0.25%에서 0.11%로 줄었고, 특히 송파구는 0.79%에서 -0.03%로 하락 전환했다.

가장 충격적인 사례는 송파구 신천동 파크리오 아파트(전용 59㎡).
3월 초 21억 5000만 원에 거래되던 이 아파트는 단 20일 만에 18억 5000만 원에 직거래되며 무려 3억 원 하락했다.
같은 지역의 미성맨션은 한 달 새 4억 2000만 원이나 떨어졌다.


⚠️ 2.현재 시장의 문제점: 반복되는 정책 번복과 혼선

가장 큰 문제는 정책의 일관성 부족이다.
서울시는 지난달 국제교류복합지구를 허가구역에서 해제했다가 불과 35일 만에 다시 재지정하며 시장의 혼란을 초래했다.

이처럼 정책이 잦은 변화를 겪다 보니 매수자와 매도자 모두 혼란을 겪고 있다.
갑작스러운 규제는 거래를 위축시키고, 예상치 못한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또 다른 문제는 풍선효과다. 규제가 집중된 지역을 피해서 성동구, 마포구, 동작구 등지로 수요가 옮겨가면서 일부 아파트는 신고가를 갱신하고 있다.
이는 부동산 시장의 지역 간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 3.해결방안: 예측 가능한 정책과 전문 조직 강화

서울시는 이번 혼선을 계기로 부동산 전담 조직 개편을 추진 중이다.
단순한 행정 대응을 넘어서, 세제·금융·거시경제 전문가를 포함한 종합 분석 체계로 전환해 정책 가동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한, 시장과의 소통을 강화해 정책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투자자와 실수요자 모두가 정책 방향을 예측할 수 있어야 시장이 안정된다.


🔮 4.향후 전망: 단기 조정, 중장기 회복 가능성도

전문가들은 현재의 하락이 단기적 조정에 그칠 가능성도 높다고 본다.
급매물 소화 이후에는 매물이 다시 줄어들고, 현금 여력이 높은 수요층이 많은 강남권 특성상 가격이 우상향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압구정과 반포는 토허제에도 불구하고 거래가 꾸준하며,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는 부동산 시장이 단일 요인보다는 복합적인 요소로 움직인다는 점을 시사한다.


✅ 5.마무리

토지거래허가제 재지정은 분명 단기적으로 집값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하지만 정책의 예측 가능성과 일관성 없이는 시장의 신뢰를 얻기 어렵습니다.
풍선효과와 같은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선 선제적인 데이터 기반 분석과 유연한 소통이 필요해 보입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집값을 억제하는 것이 아닌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시장 환경’을 만드는 것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토허제 재지정 후 주요 지역별 아파트값 변화]

 

지역명 재지정 前 상승률 재지정 後 상승률 변화폭 비고
서울 전체 0.25% 0.11% ▼ 0.14% 상승폭 둔화
송파구 0.79% -0.03% ▼ 0.82% 하락 전환, 1년여 만에 첫 하락
서초구 0.69% 0.28% ▼ 0.41% 급매물 증가 영향
강남구 0.83% 0.36% ▼ 0.47% 고가 아파트 위주 조정
용산구 0.34% 0.18% ▼ 0.16% 완만한 조정

 

토허제 재지정/뉴시스 출처


https://super-kyo.com/3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