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집 두 채 받아도 1주택? 조건만 지키면 가능한 이 제도는?

by 푸그니스 2025. 7. 29.
반응형

집 두 채 받아도 1주택? 조건만 지키면 가능한 이 제도는?

요약
‘1+1 재건축’을 신청한 조합원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이주비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정부가 규제를 일부 완화하면서 조합원의 자금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입니다.

목차
1.무엇이 달라졌을까?
2.조합원이 겪는 실제 어려움
3.정부의 유연한 대응책
4.앞으로 어떤 변화가 예상될까?
5.가장 큰 혜택을 받을 지역은?


1. 무엇이 달라졌을까?

‘1+1 재건축’은 한 채를 허물고 두 채를 받는 구조입니다.
그동안 이 방식은 ‘다주택자’로 간주되어 이주비 대출이 제한됐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조건부 1주택자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유연하게 해석하면서, 한 채를 준공 후 처분하겠다는 약정을 제출하면 최대 6억 원까지 이주비 대출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2. 조합원이 겪는 실제 어려움

조합원 입장에서는 이런 부분들이 걸림돌이 됩니다.

  • 대출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되어 있어, 고가 아파트가 많은 지역에선 부족할 수 있습니다.
  • 실제 이주 전에는 일시적으로 2주택자가 되기 때문에, 다주택자로 분류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존재합니다.
  • 건설사에서 추가 대출을 지원하더라도 높은 금리가 부담입니다.
  • 일정에 맞춰 기존 주택을 처분하지 못하면, 세제나 금융규제에 노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3. 정부의 유연한 대응책

정부는 규제의 틀은 유지하되, 해석을 유연하게 적용해 일부 예외를 인정했습니다.

  • ‘3년 내 한 채 매도’ 약정서를 제출하면 1주택자로 간주해 이주비 대출 허용
  • 기존 2주택자라도 새 집 등기 후 6개월 안에 기존 집 처분을 약속하면 대출 가능
    이러한 조치들은 실제 재건축 현장에서의 현실적인 문제들을 반영한 것입니다.

4. 앞으로 어떤 변화가 예상될까?

이제까지 이주비 대출을 못 받아 재건축 속도가 더뎠던 현장들에 숨통이 트일 수 있습니다.
조합원의 자금 부담이 줄어들고, 사업 추진 동력이 생기면서 전체적인 사업 속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다만, 대출 한도 문제나 고령 조합원의 처분 시점 리스크는 여전히 숙제로 남습니다.


5. 가장 큰 혜택을 받을 지역은?

이번 정책 변화로 수혜가 기대되는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북아현3구역
  • 노량진1구역
  • 한남2구역
  • 개포주공 5·6·7단지

이들 지역은 ‘1+1 분양’ 신청자가 많고, 사업 진행도 활발한 곳이라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요약 표>

구분 내용 요약
정책 변화 ‘1+1 재건축’ 조합원도 한 채 매도 조건 시 이주비 대출 가능
조합원 부담 대출 한도 6억, 일시적 다주택자 리스크, 고금리 대출 등
정부 대응책 처분 약정서 제출로 1주택자 간주, 유연한 해석 적용
전망 사업 추진 촉진, 조합원 자금 여력 확보, 단 고령층·실행 리스크는 존재
수혜 지역 북아현3·노량진1·한남2·개포주공5~7단지 등
 

마무리

1+1 재건축을 고민하는 조합원에게 이번 대출 허용은 실질적인 숨통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여전히 신중한 대출 계획과 일정 조율이 필요하지만,

적어도 ‘집 두 채 받으면 대출이 막힌다’는 벽은 일부 허물어진 셈입니다.
정부의 유연한 해석이 일선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될지, 그 성과를 지켜보는 것도 중요하겠습니다.


재개발이미지/네이버부동산 출처

https://super-kyo.com/546


https://super-kyo.com/547


반응형